사회복지의 진화: 밀포드 회의와 방법론의 대립
사회복지 실천이 현대의 전문직으로 발전하기까지 여러 중요한 이정표가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1929년에 열린 밀포드 회의는 사회복지의 방향성과 실천 방법론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 역사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이 회의는 진단주의와 기능주의라는 두 가지 대립하는 접근 방식을 놓고 펼쳐진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의 전문직 분화를 촉진한 핵심 순간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밀포드 회의의 의의와 이로 인해 생겨난 사회복지실천의 3대 방법론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
밀포드 회의의 중요성
밀포드 회의는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됩니다.
이 회의는 사회복지가 직면한 여러 문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를 진행했으며
진단주의와 기능주의라는 두 가지 접근 방식 사이의 대립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진단주의 VS 기능주의
진단주의는 개인의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진단하여 그 해결책을 찾는 접근 방식입니다. 반면, 기능주의는 개인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두 접근 방식의 대립은 사회복지 실천의 복잡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했습니다.
구 분 | 진단주의(diagnostic school) | 기능주의(functional school) |
시 작 | 1920년대 | 1930년대 후반 |
학 파 | Richmond, Hamilton, Hollis | Otto Rank |
전체 초점 |
· CT의 초기 아동기 발견되지 않은 문제와 이해를 기초 로 치료, CT의 생육사 탐구를 기반으로 진단 강조 · 무의식, 전이, 저항, 정신적인 결정론 등 프로이트학파 의 개념을 기초로 함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무의식, 전이, 저항, 정신적 인 결정론 개념들을 기초 |
· 클라이언트의 현재의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 클라이언 트 내부의 힘(self will) 강조 · 클라이언트를 치료의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클라이언트 를 존경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주체성이 강조 · 오토랭크(Otto Rank)의 의지이론: 인간을 자아의 창의 적 ·적극적 의지에 의해 발전하는 존재 |
방 법 | · 과거생활력 중심 ⇒단선적 인과성 · 치료주체: 사회복지사 · 치료자의 역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분류하고 치료방법을 선택 |
· 현재의 경험을 중시 · 치료의 주체: 클라이언트 자신 · 원조자, 조력자의역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능 력을 발전케 함. CT와 함께 노력 |
인간관 | · 질병의 심리학 · 의료모델의 용어 사용 · 병리적,소극적,수동적,질병적,결정적 인간관 |
· 성장의 심리학 · '치료'대신'원조과정'이란 용어 사용 · 낙관적인 인간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인간관 |
특 징 | · 과거중심적인 접근, 과거의 기능과 경험 중시 · 조사 · 진단 · 치료과정을 중시 · 사회복지사에서 치료자로 위상을 높이고자함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성격과 상황을 합하여 사례를 분석하게 하는 최초의 과학적 사고방법을 제시. 사례마다 개별화하여 면접하고 개입하는 방법을 제시 · 서비스 이용자가 지닌 문제의 심리측면 강조 |
· 인간의 성장 가능성, '지금-이곳'현재에 초점 · 치료의 개념보다는 원조과정 더욱 중시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서로 동등한 관계, 치료를 위한 책임이 클라이언트에게 있음 · 현시점에서 더 나은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것 ⇒치료의 원천으로 현재의 경험을 강조 · 개인의 미래를 성장 가능성으로 보고 그 가능성을 현재 의 경험에서 찾 |
사회복지실천의 3대 방법론
밀포드 회의 이후, 사회복지실천은 개별사회사업(Case Work,C.W:진단주의 학파vs기능주의 학파), 집단사회사업(Group Work, G.W), 그리고 지역사회조직사업(Community Organization,C.O)의 세 가지 주요 방법론으로 전문적으로 분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전문적 분화 현상은 사회복지실천이 다양한 문제와 대상에 맞춰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각 방법론은 사회복지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제공합니다.
결론
밀포드 회의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중대한 분기점으로 작용했습니다.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사이의 대립을 통해 사회복지 실천의 다양한 접근 방식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했으며,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분화를 촉진했습니다.
이 회의는 오늘날에도 사회복지 실천과 교육에 있어 근본적인 가치와 방향을 제공하며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이 글은 사회복지 분야의 전문가, 학생, 그리고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사회복지 실천의 역사적 이해를 넓히고, 전문직으로서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시간의 포스팅
댓글